“이 나라는, 여성들에게 개발도상국이다.” 최근 일본에서 방송된 한 화장품 회사의 광고 카피다. 회의가 끝난 후 남은 커피 잔을 혼자서 치우는 여성, 만삭의 몸으로 사무실 의자에 기대앉은 여성, 다소 어두워 보이는 여성 직장인들의 표정 위로 카피가 이어진다. “제한된 기회, 앞길을 가로막는 불공정. 과거의 상식들은 그저 걸림돌이 되고 있다. 나는 그것이 불편하다.” 일반적인 화장품 광고의 밝고 경쾌하고 자신감 넘치는 분위기와 사뭇 다르다. 그래서 도전적으로도 느껴지는 이 광고는 지금 일본 사회에서 여성이 서 있는 자리를 보여준다. http://ize.co.kr/articleView.html?no=2016082118527255091
김애란의 어느 단편 소설에서 ‘사회생활의 적은 수줍음’이라는 글귀를 읽고 마음이 스산했던 적이 있다. 스물일곱이라는 적지 않은 나이에 한 광고회사 AE 사원으로 입사했던 해였다. 한 달간의 인턴 생활을 마치고 정사원이 되었음을 알려주는 면담 자리에서 사장님은 “샤이(shy)해 보여서 뽑을지 좀 고민했는데, 잘해주면 좋겠다”고 말했다. 결과적으로 1년 7개월 후 그곳을 퇴사할 때까지 나는 사장님이 만족할 만큼 ‘샤이하지 않은’ 사원은 아니었다. 그건 내성적이라서가 아니었다. 굳이 따지자면 뻣뻣해서였고 살갑지 않아서였다. http://ize.co.kr/articleView.html?no=2014111621237269120
지난주 내내 한 드라마를 보고 또 봤다. 본방 사수는 물론이고 다시 보려고 편성표를 검색하고 리모컨으로 케이블 채널을 배회했다. 오프닝 음악이나 벌써 외운 대사가 들려오면 파블로프의 개처럼 하던 일을 멈추고 TV 앞에 정좌하게 만든 건 노희경 작가의 SBS 드라마 다. 이 드라마에서 가장 먼저 눈에 들어오는건 요즘 대세라고들 하는 ‘썸’과 ‘홈 셰어’가 날리는 크로스 카운트 펀치다. 그 결과 “여기는 다들 서로 키스하고 막 그냥 살고 막 뭐 그래야 같이 노나?”라는 재열(조인성)의 얼빠진 대사와 지질하고 현실적인 난투극이 이어진다. 드라마의 문을 여는 건 ‘프리섹스’를 운운하는 솔직하거나 노골적인 대사와 김규태 감독 특유의 화사한 화면이지만, 여전히 핵심은 노희경 작가의 글이다. 평범을 가장하거나 위악을..
차가운 주검으로 돌아온 희생자들과 생때같은 가족을 잃은 유가족들과 아직도 돌아오지 못한 실종자들과 더 이상 타들어갈 곳 없는 마음으로 버티는 가족들이 있다. 이들 만이 아니다. 한 사회가 과적된 욕망과 응축된 모순에 짓눌려 가라앉는 모습을 적나라하게 목격한 시민들이 있다. 그렇게 6개월이 흘렀다. 누군가는 아직도 세월호를 이야기하느냐고 말하고, 누군가는 아직도 아무것도 규명되지 않았냐고 말한다. 그 사이에서 의 존재가 세상에 드러났다. 이 사회의 모순을 껴안고 침몰한 비극을 다루며 스스로도 모순의 딜레마에서 자유롭지 못한 이 영화는 우리에게 어떤 질문을 하려는 것일까. http://news.maxmovie.com/movie_info/sha_news_view.asp?menuCode=19&subMenuCod..